○ 기증자 가족에게 편지를 쓸 때
- 기증자 가족의 상실에 대해 공감을 표현합니다.
- 기증자 가족에게 감사를 표현합니다.
- 기증자 가족의 기분에 유의합니다.
- 당신의 삶, 직업, 가족과 친구, 취미와 특기 등에 관한 일반적인 정보를 공유합니다.
- 이식을 받은 이후의 변화 된 삶에 대해 이야기합니다.
- 앞으로의 계획에 대해 이야기합니다.
○ 수혜자에게 편지를 쓸 때
- 수혜자의 안부를 묻습니다.
- 가족 구성원의 기증 이후 근황을 이야기합니다.
- 가족 구성원의 기증 경험이 자신의 삶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적습니다.
- 당신의 삶, 직업, 가족과 친구, 취미와 특기 등에 관한 일반적인 정보를 공유합니다.
- 앞으로의 계획에 대해 말합니다.
- 수혜자의 건강한 삶을 응원합니다.
○ 기증자 가족에게 편지를 쓸 때
- 기증자 가족의 상실에 대해 공감을 표현합니다.
- 기증자 가족에게 감사를 표현합니다.
- 기증자 가족의 기분에 유의합니다.
- 당신의 삶, 직업, 가족과 친구, 취미와 특기 등에 관한 일반적인 정보를 공유합니다.
- 이식을 받은 이후의 변화 된 삶에 대해 이야기합니다.
- 앞으로의 계획에 대해 이야기합니다.
○ 수혜자에게 편지를 쓸 때
- 수혜자의 안부를 묻습니다.
- 가족 구성원의 기증 이후 근황을 이야기합니다.
- 가족 구성원의 기증 경험이 자신의 삶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적습니다.
- 당신의 삶, 직업, 가족과 친구, 취미와 특기 등에 관한 일반적인 정보를 공유합니다.
- 앞으로의 계획에 대해 말합니다.
- 수혜자의 건강한 삶을 응원합니다.
○ 이름, 주소, 전화번호 등의 개인정보를 기입하지 않습니다.
○ 금전적인 요구를 하지 않습니다.
○ 부적절한 발언을 하지 않습니다.
○ 편지는 발송 전 한국장기조직기증원 담당자에 의해 검토되며 부적절한 내용이 발견될 시 수정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.
○ 담당자의 검토에 동의하지 않을 시 우편함 이용에 제약을 받을 수 있습니다.
○ 수신자가 회원가입을 하지 않은 경우 답변이 불가능하며 개인 사정으로 답변이 늦을 수 있습니다.
From. 기증자 가족이 보내는 편지
안녕!
이제는 또 다른 이름의 너를 통해 내 아이를 불러볼 수 있게 되었구나.
이 순간이 언제 올까, 먼 하늘을 보며 마냥 기다렸던 때가 있었단다.
가슴이 벅차면서 금방이라도 눈물이 나올 것 같아 잠시 마음을 가다듬고 왔어.
그래도 전하고 싶은 말이 있어 이렇게 용기를 내어 봤는데, 한번 들어주겠니?
어떤 미소를 띠고 있을지, 무슨 계절을 가장 좋아하는지, 잘 먹는 음식은 무엇인지..
모든 게 다 궁금해지네. 지금 이 편지를 보며 어떤 생각을 할지도.
그동안 많이 아팠을 네가 이렇게 씩씩하고 건강하게 자라는 걸 상상하니 고맙다는 말 밖에 나오질 않구나. 그저 아무 말 없이 너를 꽉 안아 봤으면, 그래서 너와 우리 정민이의 온기가 내게 온전히 전해질 수만 있다면 나는 더 바랄 게 없을 것 같아.
언젠가 너를 보게 되는 날이 오면 이렇게 말해주고 싶어.
그냥 지금까지 잘 있어 줘서, 건강히 살아줘서 고맙다고. 그리고 정민이를 대신해 멋지게
자라 세상의 빛이 되어줘서 다 고마워. 아가야.
너는 부모님이 살아가는 이유이자 기쁨 그 자체야.
이 말 잊지 말고 어디서든 당당하고 행복하게 잘 살길 바란다.
곧 겨울이 올 것처럼 아침, 저녁으로 많이 추운데 감기 걸리지 않게 늘 조심했으면 좋겠구나.
마지막으로 지금까지 마음 고생 많으셨을 부모님께 전하고 싶은 말이 있어요.
그간 얼마나 힘드셨나요. 그 심정을 알기 때문에 가슴이 더 아려옵니다.
하지만 그 힘듦도 결국엔 끝이 보이더군요. 이제는 마음 놓으시고 아름다운 꽃길만 걸으시길 간절히 바랍니다. 이렇게라도 이어지게 된 인연에 감사드리며, 저희 정민이를 꼭 기억해주시길 부탁드립니다. 한 마디의 짧은 말이라도 기증자 가족에게는 큰 힘이 됨을
부디 잊지 말아주세요.
정민 엄마가
故 서정민 군은 2020년 9월 26일 장기를 기증하고 하늘의 별이 되었습니다.
From. 수혜자 지인이 보내는 편지
고맙습니다.
저는 박흥식 님 동생분의 신장을 이식받았을지도 모를 A씨의 지인입니다.
언론보도 등 여러 정황을 통해 동생분의 신장을 받았을 것이라 생각하여 마음을 전하고 싶어서 이 편지를 씁니다.
A형제는 어려서부터 참 불우한 환경에서 본인의 생활을 책임지면서 살아왔었습니다. 그렇게 생활하다보니 몇 달 동안 라면으로 끼니를 때우고 제대로 된 생활을 못하다 보니 젊을 적에 콩팥이 망가졌다고 합니다.
본인 말로는 20년 동안 투병 생활, 투석 생활을 했다고 합니다.
제가 옆에서 지켜본 게 10년인데 그동안 몸 상태가 많이 망가지고 있었습니다.
박흥식 님과 동생분 덕분에 새 삶을 얻었습니다.
아직 면역력이 약해져 있는 상태라 저도 만나지는 못했지만 20년 만에 처음으로 투석을 안하는 것이 너무 신기하고 또 처음으로 소변을 본다는 것에 감격해 하고 있습니다.
동생분의 사랑이 평생 힘들게 살아왔던 착한 사람에게 희망을 주고 있다는 말을 꼭 전하고 싶었습니다.
옆에 있던 저에게도 너무나 감사한 일이기에 이렇게 편지를 씁니다.
정말 고맙습니다. 감사합니다.
故 박흥철님은 2019년 3월 27일 장기를 기증하시고 하늘의 별이 되셨습니다.
-수혜자의 안부를 묻습니다.
-가족 구성원의 기증 이후 근황을 이야기합니다.
-가족구성원의 기증 경험이 자신의 삶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적습니다.
-당신의 삶, 직업, 가족과 친구, 취미와 특기 등에 관한 일반적인 정보를 공유합니다.
-앞으로의 계획에 대해 말합니다.
-수혜자의 건강한 삶을 응원합니다.
-기증자 가족의 상실에 대해 공감을 인지하고 표현합니다.
-기증자 가족에게 감사를 표현합니다.
-기증자 가족의 기분에 유의합니다.
-당신의 삶, 직업, 가족과 친구, 취미와 특기 등에 관한 일반적인 정보를 공유합니다.
-이식을 받은 이후의 변화 된 삶에 대해 이야기합니다.
-앞으로의 삶의 계획에 대해 이야기합니다.